축구사를 빛낸 50개의 왕조들 12편- 최초의 공식 남아메리카 챔피언

동네 축덕 아저씨의 축구 썰/축구사를 빛낸 50개의 왕조들

축구사를 빛낸 50개의 왕조들 12편- 최초의 공식 남아메리카 챔피언

토르난테 2023. 8. 10. 15:59
728x90
728x90

 

1944~1953

 

『승리의 급행열차』 바스쿠 다 가마

(Expresso da Vitória)

 

국내와 국외를 가리지 않고 우승컵을 쓸어담았던 브라질 최초의 축구왕조

 


성적

주요 대회

캄페오나투 카리오카: 5회 우승 (1945, 1947, 1949, 1950, 1952)

캄페오나토 수다메리카노 데 캄페오네스: 1회 우승 (1948)

토르네이오 옥토고날 리바다비아 코레아 메이어: 1회 우승 (1953)


리우 데 자네이루 대회

토르네이오 이니시우 두 캄페오나투 카리오카: 3회 우승 (1944, 1945, 1948)

타사 이피시엔시: 5회 우승  (1945, 1946, 1947, 1949, 1950)

리우 데 자니에루 시립 토너먼트: 4회 우승 (1944, 1945, 1946, 1947)

기타 리우 데 자네이루 토너먼트: 3회 우승 (1944, 1946, 1948)


기타 국제 대회- 21회 우승

1947 포르투갈 개최 타사 센테니얼) 우승
1947 포르투갈 개최 타사 데 오루 하무스 핀투 우승
1947 포르투갈 개최 타사 자날 오 세쿨루 우승
1947 스페인 개최 타사 콜로니아 발네아리아 인판틸 우승
1948 볼리비아 개최 트로페우 파르케 로제달 토르티예로 우승
1948 우루과이 개최 트로페우 에스타벨레시미엔토스 오리엔테 우승
1948 페루 개최 트로페우 말테리아 콘티넨탈 우승
1948 에콰도르 개최 트로페 무살렘 에르마노스 우승
1948 칠레 개최 트로페우 카사 두 브라질 라 도마 우승
1948 아르헨티나 개최 후안 도밍고 페론 대통령 컵 우승
1948 칠레 개최 트로페우 밴드&살라스 우승
1948 브라질 개최 브론즈 다 비토리아 우승
1949 오스트리아 개최 트로페우 뎀 시커 우승
1949 멕시코 개최 아틀라스 FC 컵 우승
1949 멕시코 개최 에바 페론 컵 우승
1949 주 과테말라 브라질 공사관 컵 우승
1950 페루 개최 클럽 데포르티보 바스쿠 다 가마 컵 우승
1951 우루과이 개최 CA 페냐롤 컵 우승
1953 브라질 개최 포스퀘어 인테르나시오날 두 히우 우승
1953 아르헨티나 개최 라싱 클루브 창단 50주년 기념 대회 우승
1953 칠레 개최 산티아고 국제 토너먼트 우승

 


소개

브라질 축구계가 세계 축구게에서 변방에 있던 시절 바스쿠 다 가마의 지휘봉을 잡았던 우루과이 출신의 온디노 비에라에 의해 중유럽에서 유행한 공격의 스위칭 플레이 및 윙 하프들이 수비에 적극 가담함은 물론 인사이드 레프트 포워드 자이르 다 호사가 후방으로 내려와 하프백 라인과 공격 라인을 연결하는 4-2-4 시스템의 프로토 타입을 처음으로 구사하며 지지뉴를 앞세운 플라멩구를 제치고 리우 데 자네이루 축구계를 평정하기 시작했다.

후임 감독 플라비우 코스타 체제에서는 남미 축구 후방 플레이메이커의 프로토 타입인 하프백 다닐루 아우빔을 영입하며 캄페오나투 카리오카를 제패했음은 물론 1948년에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의 전신 대회인 캄페오나토 수다메리카노 데 캄페오네스에서 아르헨티나가 자랑하는 리버 플레이트와 우루과이의 명문 클루브 나시오날을 포함해 남미 각국의 챔피언들을 상대로 4승 2무를 거두며 무패우승을 이뤄냈다.

플라비우 코스타는 1950 브라질 월드컵에서는 대표팀에서 우승에 실패한 후유증으로 사임했음은 물론 바스쿠 다 가마의 멤버 다수가 그 당시 셀레상의 주전 선수였기에 후유증으로 주춤했지만 1953년에 복귀해 브라질의 다섯 팀과 스포르팅 리스본, 클루브 올림피아, 하이버니언이 참가한 토르네이오 옥토고날 리바다비아 코레아 메이어에서 상 파울루를 결승에서 꺾고 우승을 이뤄내며 왕조의 마침표를 확실하게 찍었다.


주요 감독

 


플라비우 코스타

2-3-5 피라미드 시스템 및 중유럽식 스위칭 플레이가 유행하던 남미 무대에 영국식 WM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도입한 인물로 전임 감독이 남겨놓은 공격의 스위칭과 WM을 적절히 혼합한 전술로 남미 무대와 세계 여러 나라들을 격파하며 우승 트로피를 휩쓸었다.

플라비우 코스타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의 전신 대회인 캄페오나투 수다메리카노 데 캄페오네스를 포함해 총 23회의 국제대회 우승을 이뤄냈고 캄페오나투 카리오카 4회 우승을 포함해 10개의 국내 트로피를 들어올리며 구단에 총 33개의 트로피를 선물한 구단 역사상 최고의 감독이다.

특히 아웃사이드 레프트였던 아데미르를 센터 포워드로 기용하며 잠재력을 만개시켰는데 그 아데미르가 바스쿠 다 가마의 핵심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이는 큰 성과라 볼 수 있으며 아웃사이드 라이트인 프라이사와 인사이드 라이트의 마네사의 찰떡같은 호흡의 스위칭 플레이는 플라비우 코스타의 작품이라고 한다.


ACE Card

 

 

이름: 아데미르
출생년도: 1922년 11월 8일
포지션: 센터 포워드, 아웃사이드 레프트
신체조건: 키 175cm / 몸무게 73kg


1940년대 하반기와 1950년대 상반기를 대표하는 스트라이커로 선수 생활을 아웃사이드 레프트로 시작했을 정도로 빠른 스피드를 활용한 공간 침투 능력과 치명적인 골 결정력을 겸비해 주립리그 득점왕을 2회 수상했다.

바스쿠 다 가마에서 전성기를 보내며 캄페오나투 카리오카 5회 우승을 포함해 크고 작은 대회에서 총 43회 우승을 이뤄낸 아데미르는 특히 1948년에는 남아메리카 클럽 챔피언쉽에서 우승을 이뤄냈다.

 

 

이름: 다닐루 아우빔
출생년도: 1920년 12월 3일
포지션: 센터 하프, 윙 하프
신체조건: 키 182cm / 몸무게 74kg

브라질 축구 역사상 최고의 수비형 미드필더 중 하나로 평가받는 선수로 유럽의 WM 시스템이 브라질에 정착하는데 큰 공을 세운 선수로 정교한 태클과 중앙에서 측면으로 보내는 우수한 롱패스를 활용한 빌드업에도 능했다.

바스쿠 다 가마가 브라질 최고의 팀으로 활약하던 시절 팀 내에서 왕자라 불리며 카리오카 챔피언쉽 4회 우승을 이뤄낸 것을 포함해 크고 작은 대회에서 36회의 우승을 이뤄내며 구단의 황금기를 이끌었음은 물론 1948년에는 코파 아메리카의 전신 대회인 남아메리카 챔피언십 오브 챔피언스에서 우승하며 남미 최강자의 자리에 오르기도 했다. 1953년에는 토르네이오 옥토고날 리바다비아 코레아 메이어 결승에서 라이벌 바우에르와 격돌해 2전 전승을 거두며 누가 당대 브라질 최고의 하프백인지 증명하기도 했다.

 

 

이름: 치쿠
출생년도: 1922년 1월 7일
포지션: 아웃사이드 레프트
신체조건: 키 168cm / 몸무게 69kg

1940년대 하반기 남미 정상급 아웃사이드 레프트로 뛰어난 운동능력과 테크니컬한 드리블로 상대 수비수의 맨 마킹을 뚫어내고 우수한 양발 사용 능력을 통해 득점 찬스를 만들었다.

일명 '승리의 급행열차'라 불렸던 바스쿠 다 가마의 전성시대를 이끌면서 캄페오나투 카리와 5회 우승을 포함해 크고 작은 대회에서 총 43회 우승을 이뤄낸 치쿠는 1948년에는 남아메리카 클럽 챔피언십 우승을 이뤄내며 아르헨티나로부터 남미 축구의 패권을 일시적으로 가져왔다.


베스트 일레븐


이전 회차: 11편 비극으로 막을 내린 위대했던 축구왕조

다음 회차: 13편 대격변 속 잉글랜드 축구의 자존심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