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레주' 태그의 글 목록
300x250

세레주 5

축구 역사상 최고의 수비형 미드필더 Top 10

주의사항* 작성자 개인의 주관이 강하게 들어갔습니다. 아무리 설득하셔도 바꿀 생각 없습니다.* 과거 버전과는 대폭 수정되었습니다. 관점이 바뀐 부분도 있고 가진 자료가 그때보다 많아졌다는 이유도 있습니다.* 과거의 선수일수록 수상 기회가 적어 수상 횟수에서 불리하다는 점은 꼭 알아두셨으면 좋겠습니다.* 사진 출처는 에펨코리아와 플레이어스에서 활동하시는 법정스님의 소유님의 사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단 소유님이 만드시지 않았던 선수들에 한정해서는 제가 직접 건조폼을 제작합니다.10위 토니뉴 세레주 생년월일: 1955년 4월 21일 국적: 브라질 신체조건: 키 183cm / 몸무게 75kg 주 소속팀: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O Patrão da Bola'1980년대를 대표하는 최고의 수비형 미드필더 중 하나..

축구사를 빛낸 50개의 왕조들- 36편 가장 브라질다운 축구인이 세운 이상의 제국

1990~1997 『텔레 산타나 시대』 상 파울루 FC (Telê Santana Era ) 이상주의자의 이상을 현실로 만든 1990년대 초중반 남미 최강의 축구제국 성적 브라질 세리 A: 1회 우승 (1991) 캄페오나투 파울리스타: 2회 우승 (1991, 1992)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2회 우승 (1992, 1993) 레코파 수다메리카나: 2회 우승 (1993, 1994) 수페르코파 수데미라카나: 1회 우승 (1993) 코파 CONMEBOL: 1회 우승 (1994) 인터콘티넨탈컵: 2회 우승 (1992, 1993) 소개 1990년대 초반 남미는 물론 세계 무대에서도 최고로 꼽혔던 상 파울루는 브라질 대표팀에서의 실패로 중동 지역과 브라질의 여러 클럽을 방황하던 텔레 산타나가 지휘봉을 잡고 시작되었다...

이탈리아 세리에 A 역사상 최고의 수비형 미드필더 Top 20

* 작성자의 주관적인 순위입니다. * 대상자는 이탈리아 세리에 A 에서 100경기 이상 출전한 골키퍼들을 대상으로 했습니다. * 선수 사진은 대부분 플레이어스 유저인 법정스님의 소유님의 건조폼 입니다. 다만 법정님이 만들지 않은 선수들은 제가 만들었습니다. * 기록일은 2023년 10월 1일 기준입니다. * 있을 것 같은데 없는 선수들은 중앙 미드필더 항목에 있습니다. 20위 이메르송 생년월일: 1976년 4월 4일 세리에 A 기록: 199경기 17골 신체조건: 키 184cm / 몸무게 80kg 세리에 A 주 소속팀: AS 로마 '퓨마' 1990년대 말과 2000년대 초 정상급 앵커맨이자 박스 투 박스 미드필더로 왕성한 활동량을 통해 경기장 넓은 지역에 영향을 끼쳤으며 상대 공격의 흐름을 끊는 훌륭한 인..

삼프도리아 역대 올스타 팀

UC 삼프도리아  (UC Sampdoria) 창단: 1946년 8월 12일 소속리그: 이탈리아 세리에 A 연고지: 이탈리아 제노바 광역시 홈구장: 스타디오 루이지 페라리스 이탈리아 세리에 A: 1회 우승 (1990-91) 코파 이탈리아: 4회 우승 (1984-85, 1987-88, 1988-89, 1993-94)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1회 우승 (1991) 이탈리아 세리에 B: 1회 우승 (1966-67) 유러피언 컵: 1회 준우승 (1991-92) UEFA 컵 위너스컵: 1회 우승 (1989-90) 베스트 11 골키퍼  이름: 지안루카 팔류카 출생년도: 1966년 12월 18일 포지션: 골키퍼 신체조건: 키 190cm / 몸무게 87kg 활약 기간: 1987~1994 세리에 A 기록: 198경기 18..

축구 역사상 가장 브라질리언스러웠던 감독 이야기

이상주의자 모두가 현실에 순응했다면 사회의 발전은 없었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자신의 이상이 현실과 다르면 이를 거스르고 자신의 이상을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도 있으며 그들은 세상을 조금씩 바꾸어나간다. 축구계에도 이런 이상주의자들이 있다. 요한 크루이프, 마르셀로 비엘사, 아르센 벵거가 대표적인 예다. "지저분한 경기나 부당한 골을 얻어 이기는 것보다는 차라리 패배를 택할 것이다." 이 말을 남긴 브라질의 명장 텔레 산타나 역시 80년대와 90년대를 대표하는 축구계의 이상주의자 중 한 명이었다. 물론 세간의 평가는 황금의 사중주를 데리고도 월드컵 2차 리그에서 탈락한 감독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하지만 이런 부진에도 불구하고 브라질 국민들의 사랑을 받는 감독이다. 오늘은 브라질 국민들의 사랑을 듬뿍 받는..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