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사를 빛낸 50개의 왕조들- 30편 과학 축구의 유행을 선도한 소련 축구계의 절대강자

동네 축덕 아저씨의 축구 썰/축구사를 빛낸 50개의 왕조들

축구사를 빛낸 50개의 왕조들- 30편 과학 축구의 유행을 선도한 소련 축구계의 절대강자

토르난테 2023. 10. 10. 14:55
728x90
728x90

 

1974~1987

『과학화 축구단』 디나모 키이우

과학 축구를 통해 효율적인 관리에 눈을 뜬 동유럽 최고의 축구왕조

 


성적

소련 탑 리그: 6회 우승 (1974, 1975, 1977, 1980, 1981, 1985, 1986)

소련 컵: 5회 우승 (1974, 1978, 1982, 1985, 1987)

소련 슈퍼컵: 3회 우승 (1981, 1986, 1987)

UEFA 컵 위너스컵: 2회 우승 (1974-75, 1985-86)

UEFA 슈퍼컵: 1회 우승 (1975)

 


소개

1950년대 중반, 오랜 도광양회를 끝내고 유럽 축구계 전면에 등장한 소련 축구계는 1956 멜버른 올림픽 우승, 유로 1960 우승 및 유로 1964 준우승, 그리고 1966 잉글랜드 월드컵 4위 등 뛰어난 성과를 보여주며 강력한 모습을 보였다.

이 원동력에는 소련 탑 리그에 여러 강력한 팀들의 치열한 경쟁에 있었다. 전통의 강호 스파르타크 모스크바를 비롯해 야신의 소속팀으로 유명한 디나모 모스크바, 강력한 2선 라인으로 주목받은 토르페도 모스크바, 그리고 디나모 키이우, CSKA 모스크바 등 여러 팀들이 치열하게 경쟁했고 그 속에서 소련 축구계는 발전했다.

1960년대 디나모 키이우 소속 선수였던 발레리 로바노프스키는 현역에서 은퇴한 뒤 드니프로페트로우시크에서 인상적인 지도력을 보였고 1973년에 디나모 키이우의 감독으로 부임했다. 그리고 로바노프스키는 자신의 철학인 압박 축구를 위해 여러 과학자들을 팀의 코칭스태프로 등용해 과학적인 방식으로 팀을 운영했고 1970년대 중반부터 소련 탑 리그는 디나모 키이우의 탑독 체제가 되었다.

1980년대에는 로바노프스키의 강력한 라이벌이 생겼다. 축구를 예술로 바라봤으며, 그는 그라운드 위에서 창의적인 자유를 부여해 선수들이 마음껏 자신을 표현하길 원했던 베스코프의 스파르타크 모스크바는 과학적이고 효율적이며 조직적인 축구를 원하는 로바노프스키의 디나모 키이우와 치열한 우승 경쟁을 이룩했지만 결과적으로 디나모 키이우의 독주를 막지 못했다.

디나모 키이우는 소련 내에서만 위용을 낸 것이 아닌 소련 밖에서도 강력한 퍼포먼스를 보였는데 1975년에는 UEFA 컵 위너스컵에서 결승전에서 헝가리의 페렌츠바로시를 3-0으로 꺾고 소련 탑 리그 역사상 최초로 유럽대항전 우승을 이룩했고 UEFA 슈퍼컵에서는 베켄바우어와 게르트 뮐러를 앞세운 유럽 챔피언 바이에른을 상대로 1, 2차전 합산 스코어 3-0으로 누르며 충격을 선사했다.

 



1985-86 시즌에는 위트레흐트, 우니베르시타테아 크라이오바, 라피트 빈, 두클라 프라하를 모두 꺾고 결승에 진출하였으며 결승에서는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를 무려 3-0으로 대파하며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 이외에도 유러피언 컵에서도 4강에 두 번 진출하는 등 꾸준하게 활약하며 소련 탑 리그의 UEFA 리그랭킹에서 2위~4위 사이를 오랫동안 유지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주요 감독

 


주요 감독

발레리 로바노프스키

디나모 키예프와 소련 축구 역대 최고의 감독이자 축구 구단 운영에 여러 학문과 그 학문의 전문가들을 코치로 도입해 일명 '과학 축구'라 불리던 현대적인 선수 관리를 도입한 선구자다. 

이런 현대화된 선수 관리 방식을 앞세워 여덟 차례의 소련 탑 리그 우승과 우크라이나 프리미어리그 우승 다섯 차례를 거두었으며 UEFA 컵 위너스 컵에서도 두 차례나 우승했으며 총 32개의 트로피를 디나모 키예프에서만 들었다. 

소련 국가대표팀 감독을 겸직하기도 했으며 키예프 출신의 자신의 제자들을 소련 국가대표팀 주전 선수로 중용했다.

 


ACE Card

 

 

이름: 올레흐 블로힌
출생년도: 1952년 5월 11일
포지션: 포워드, 레프트윙, 공격형 미드필더, 스트라이커
신체조건: 키 180cm / 몸무게 75kg


야신과 함께 소련 축구 역사상 최고의 선수 중 하나로 팬들로부터 화살이라 불렸을 정도로 빠른 몸놀림으로 맹활약했으며 크루이프에 비견될 정도로 우수한 볼 컨트롤과 드리블을 활용한 화려한 개인기를 보여줬으며 신체 밸런스마저 훌륭한 완벽한 포워드였다. 

디나모 키이우에서 명장 로바노프스키의 지도를 받으며 선수생활 대부분을 보냈으며 소련 탑 리그 우승 8회와 소비에트 컵 5회 우승을 이뤄냈으며 유럽 대항전에서도 1974-75 시즌과 1985-86 시즌의 UEFA 컵 위너스컵 우승을 이뤄냈으며 1975년 슈퍼컵에서는 1차전과 2차전에 모두 득점하며 바이에른 뮌헨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며 우승을 이끌었다.

블로힌 개인도 소련 탑 리그 베스트 일레븐 13회, 우크라이나 올해의 선수 9회와 소련 올해의 선수 3회 수상, 그리고 소련 탑 리그 득점왕 5회 수상과 1985-86 시즌 컵 위너스컵 득점왕은 물론 발롱도르 투표에서 5위안에 두 번 들었으며 1975년에는 베켄바우어와 크루이프를 제치고 1위에 오르며 명성을 떨쳤다.

 

 

 

이름: 아나톨리 데미야넨코
출생년도: 1959년 2월 19일
포지션: 레프트백, 레프트윙
신체조건: 키 180cm / 몸무게 74kg

1980년대의 동유럽을 대표하는 공격형 레프트백으로 윙어들에게도 뒤지지 않는 드리블 돌파 능력과 강력한 왼발 슈팅 능력, 그리고 면도날 같은 크로스 능력까지도 보유하고 있었다.

1980년대 당시 유럽 최강의 팀 중 하나로 군림하던 발레리 로바노프스키의 디나모 키이우의 주축으로 활약하며 다섯 번의 소련 탑 리그 우승과 소련 컵 우승, 그리고 1985-86 시즌의 UEEFA 컵 위너스컵 우승을 이뤄냈으며 데미야넨코 개인도 소련 탑 리그 베스트 일레븐에 7회 선정되었고 우크라이나 올해의 선수에 2회 선정되었다.

 

 

이름: 이고리 벨라노프
출생년도: 1960년 9월 25일
포지션: 포워드, 라이트윙, 공격형 미드필더
신체조건: 키 174cm / 몸무게 68kg

1986년 한 해에는 마라도나 다음가는 퍼포먼스를 보여줬던 공격수로 뛰어난 운동 능력, 그중에서도 50m 5.7초에 끊었던 재빠른 스피드를 활용한 드리블로 상대 수비를 벗겨냈으며 볼 컨트롤 능력도 우수해 공을 잘 빼앗기지 않았다. 

초르노모레츠 오데사에서 이름을 날려 당대 소련 최강의 클럽 디나모 키이우가 그를 영입했으며 디나모 키예프에서 전성기를 맞은 벨라노프는 팀의 소련 탑 리그 우승 2회, 소비에트 컵 3회 우승과 소련 슈퍼컵 2회 우승을 이뤄냈으며 1985-86 시즌에는 UEFA 컵 위너스컵 우승에 공헌했는데 벨라노프 본인도 대회 득점왕에 올랐다.


베스트 일레븐


이전 회차: 29편 붉은 제국이라 불렸던 영국 축구 역사상 최고의 왕조

다음 회차: 31편 잉글랜드 클럽의 유러피언 컵 7연패를 저지한 북독의 강호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