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 인데펜디엔테 역대 올스타 팀

클럽 올스타 짜보기/CONMEBOL

CA 인데펜디엔테 역대 올스타 팀

토르난테 2023. 5. 8. 14:36
728x90
728x90

CA 인데펜디엔테 (CA Independiente)

 

창단: 1905년 4월 3일

창단: 1905년 1월 1일

소속리그: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연고지: 아르헨티나 아베야네다

홈구장: 에스타디오 리베르타도레스 데 아메리카

프리메라 디비시온: 16회 우승

기타 국내 컵대회: 9회 우승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7회 우승 (1964, 1965, 1972, 1973, 1974, 1975, 1984)

코파 수다메리카나: 2회 우승 (2010, 2017)

레코파 수다메리카나: 1회 우승 (1995)

수페르코파 리베르타도레스: 2회 우승 (1994, 1995)

기타 국제 컵대회: 2회 우승

J리그컵 / 코파 수다메리카나 챔피언십: 1회 우승

코파 인터아메리카 3회 우승: (1972, 1974, 1975)

인터콘티넨탈컵: 2회 우승 (1973, 1984)

 


베스트 11

 

골키퍼

 

 

이름: 미겔 앙헬 산토로
출생년도: 1942년 2월 27일
포지션: 골키퍼
신체조건: 키 182cm / 몸무게 79kg

활약 기간: 1962~1974
통산 기록: 394경기 399실점 / 145클린시트

 

1960년대와 70년대 남미 정상급 수문장 중 하나로 용수철같이 높은 점프력과 우수한 반응속도, 그리고 안정적인 위치선정으로 이름을 날렸다.

인디펜디엔테 구단 통산 출전 4위에 랭크된 산토로는 인데펜디엔테에서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4회 우승을 이뤄냈으며 남미 무대에서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4회 우승을 이끌었으며 1973년에는 유러피언 컵 준우승을 이뤄낸 유벤투스와 인터콘티넨탈컵에서 만나 1-0으로 승리하며 무실점 우승을 이뤄내는데 큰 공을 세웠다.

 

 

센터백

 

 

이름: 엔조 트로세로
출생년도: 1953년 5월 23일
포지션: 센터백, 리베로, 수비형 미드필더
신체조건: 키 179cm / 몸무게 74kg

활약 기간: 1975~1979, 1981~1986
통산 기록: 345경기 56골

 

1970년대와 80년대에 걸쳐 활약한 수비수로 경기장에서 항상 강인한 정신력을 잃지 않아 바이킹이라는 별명으로 불렸으며 공격적인 재능도 가지고 있어 수비수임에도 커리어 통산 70골을 넘게 득점했으며 왼발 빌드업에도 능숙했다.

인데펜디엔테 구단 통산 출전 7위에 랭크된 트로세로는 비야베르데와 함께 중앙 수비 조합을 구성해 아르헨티나 프리미어 디비시온 4회 우승을 이뤄냈으며 1984년에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와 인터컨티넨탈컵 우승을 이뤄냈다. 특히 1981년에는 천하의 마라도나를 제치고 엘 그라피코 선정 아르헨티나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센터백

 

 

이름: 우고 비야베르데
출생년도: 1954년 1월 27일
포지션: 센터백, 리베로
신체조건: 키 177cm / 몸무게 71kg

활약 기간: 1976~1989
통산 기록: 424경기 0골

 

1970년대와 80년대에 걸쳐 활약한 수비수로 우수한 신체 회복력과 감쪽같이 상대의 볼을 탈취하는 능력으로 명성을 떨쳤으며 언론에 말 한 마디도 하지 않는 과묵한 성격의 소유자였다.

인디펜디엔테 구단 통산 출전 3위에 랭크되었으며 선수 생활 전부를 인디펜디엔테에서만 보낸 비야베르데는 트로세로와 함께 중앙 수비 조합을 구성홰 아르헨티나 프리미어 디비시온 4회 우승을 이뤄냈으며 1984년에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와 인터컨티넨탈컵 우승을 이뤄냈는데 특히 인터콘티넨탈컵에서는 리버풀의 자랑하는 공격수 이안 러시를 완벽하게 지워버렸다.

 

 

라이트백

 

 

이름: 네스트로 클라우센
출생년도: 1962년 9월 29일
포지션: 라이트백
신체조건: 키 176cm / 몸무게 76kg

활약 기간: 1980~1988, 1995~1996
통산 기록: 275경기 7골

 

1980년대 아르헨티나 무대에서 이름을 날렸던 풀백으로 한혈마와 같은 지구력을 바탕으로 엄청난 활동량을 보여주며 공수 양면에서 영향력을 끼쳤는데 특히 거칠면서도 정교한 태클과 저돌적인 오버래핑으로 상대 측면을 공수 양면에서 다채롭게 괴롭혔다.

인데펜디엔테에서 데뷔해 전성기를 누리며 아르헨티나 프리미어 디비시온 2회 우승을 이뤄냈으며 1984년에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와 인터콘티넨탈컵을 연속으로 제패했는데 특히 인터콘티넨탈컵 결승전에서 붉은 제국이라 불렸던 유럽 최강의 팀 리버풀을 상대로 엄청난 태클 실력을 보여주기도 했다.

 

 

레프트백

 

 

이름: 리카르도 파보니
출생년도: 1943년 7월 8일
포지션: 레프트백, 센터백
신체조건: 키 174cm

활약 기간: 1965~1976
통산 기록: 501경기 65골

 

남미 클럽 축구 역사상 가장 위대한 레프트백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출중한 대인 수비 능력과 공격 상황에서 우수한 킥력으로 정확한 크로스와 세트피스를 담당했으며 활동량과 투지도 대단했다.

인디펜디엔테 구단 통산 출전 2위에 랭크된 파보니는 레이 데 코파스 군단에 머무는 동안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3회 우승은 물론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5회 우승과 코파 인터 아메리카나 3회 우승, 그리고 1973 인터콘티넨탈컵 우승을 거뒀으며 이런 활약을 바탕으로 1969년 엘 그라피코 선정 1960년대 남미 최고의 레프트백 3위에 선정되었으며 2020년 아르헨티나 무대의 저명한 기자 호르헤 바라시 선정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올타임 베스트 일레븐에 선정되었다.

 

 

수비형 미드필더

 

 

이름: 리카르도 지우스티
출생년도: 1956년 12월 11일
포지션: 수비형 미드필더, 중앙 미드필더, 라이트백, 라이트윙
신체조건: 키 178cm / 몸무게 76kg

활약 기간: 1981~1991
통산 기록: 332경기 32골

 

1980년대 아르헨티나 무대에서 이름을 날린 유틸리티 플레이어로 왕성한 활동량과 다재다능함, 그리고 높은 수준의 전술안을 겸비해 본 포지션인 3선 미드필더는 물론 측면 미드필더, 라이트백 등 다양한 포지션을 소화할 수 있었다.

인데펜디엔테에서 전성기를 누린 지우스티는 마랑고니, 보치니, 부루차가와 함께 인디펜디엔테판 마법의 사각형을 구성해 활약했는데 로스 디아블로스 로하스에 머무는 동안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2회 우승을 이뤄냈으며 1984년에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와 인터콘티넨탈컵을 석권했는데 특히 후자의 대회에서는 유럽 축구의 지배자 리버풀을 상대로 무실점 승리를 거두는데 크게 공헌했으며 1987년에는 남아메리카 올해의 팀에 선정되었다.

 

 

수비형 미드필더

 

 

이름: 안토니오 사스트레
출생년도: 1911년 4월 27일
포지션: 공격형 미드필더, 수비형 미드필더, 포워드 外 전 포지션 소화 가능
신체조건: 키 174cm / 몸무게 72kg

활약 기간: 1931~1942
통산 기록: 340경기 112골

 

1930년대 아르헨티나를 대표하던 인사이드 포워드이자 하프백으로 드리블과 패스에 능하며 이를 활용한 플레이메이킹 능력으로 후대의 많은 아르헨티나 선수들에게 영감을 주었다고 전해지며 필드의 모든 포지션에서 활약할 수 있었다.

인디펜디엔테 구단 통산 출전 9위에 랭크되었으며 통산 득점 5위에 랭크된 사스트레는 아르세니오 에리코, 비센테 데 라 마타와 함께 삼각편대를 구성해 활약하며 아르헨티나 프리미어 디비시온 2연패는 물론 코파 이바라구렌, 코파 알다오에서 2연패라는 성과를 내며 크고 작은 공식 대회에서 7회 우승을 이뤄내며 로스 디아블로스 로하스가 황금기를 누리는데 가장 큰 공을 세웠다.

 

 

공격형 미드필더

 

 

이름: 리카르도 보치니
출생년도: 1954년 1월 25일
포지션: 공격형 미드필더, 포워드
신체조건: 키 168cm / 몸무게 66kg

활약 기간: 1972~1991
통산 기록: 714경기 108골

 

마라도나가 직접 밝힌 우상으로 1970~80년대 남미에서 이름을 날렸던 공격형 미드필더로 뒤에도 눈이 달렸다고 평가받았을 정도로 드넓은 시야와 뛰어난 패스 센스에서 나오는 킬패스로 인해 팬들은 그의 날카로운 킬패스를 '보치니풍의 패스'라고 불렀으며 패스뿐만이 아니라 드리블에도 일가견이 있었다.

현역 은퇴 이후에 이벤트로 한 경기 뛴 것을 제외하면 선수 생활 전부를 인데펜디엔테에서만 보냈으며 19년간 활약한 보치니는 구단 통산 최다 출전자에 랭크되었으며 로스 디아블로스 로하스에서 머무는 동안 아르헨티나 프리미어 디비시온 4회 우승과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3연패를 포함한 4회 우승, 그리고 인터콘티넨탈컵 2회 우승을 이뤄냈으며 특히 1973년 대회에서는 아약스 대신 참가한 유벤투스의 골키퍼 디노 조프를 상대로 결승골을 득점하기도 했다.

보치니는 개인적으로도 남미 올해의 선수 투표에서 10위 안에 5회 선정되었으며 1983년에는 남미 올해의 선수 투표 3위를 기록했고 아르헨티나 올해의 선수로 선정되었다.

 

 

공격형 미드필더

 

 

이름: 비센테 데 라 마타
출생년도: 1918년 1월 15일
포지션: 포워드, 윙어, 공격형 미드필더, 스트라이커
신체조건: 키 172cm / 몸무게 66kg

활약 기간: 1937~1950
통산 기록: 362경기 152골

 

1940년대 아르헨티나 무대에서 활약한 다재다능한 공격 자원으로 볼 다루는 기술이 매우 뛰어났으며 우수한 축구 지능을 토대로 본 포지션인 인사이드 포워드는 물론 양 아웃사이드 포워드에서도 훌륭한 모습을 보여줬으며 중앙과 측면을 가리지 않고 대포알과 같은 슈팅을 날렸다.

인디펜디엔테 구단 통산 출전 6위와 통산 득점 3위에 랭크된 데 라 마타는 사스트레, 에리코와 함께 삼각 편대를 구축해 활약하며 로스 디아블로스 로하스의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3회 우승을 포함해 크고 작은 대회에서 통산 8회의 우승을 이뤄냈다.

 

 

포워드

 

 

이름: 마누엘 세오아네
출생년도: 1902년 3월 19일
포지션: 포워드, 스트라이커
신체조건: 키 160cm / 몸무게 80kg

활약 기간: 1921~1923, 1926~1933
통산 기록: 278경기 239골

 

키 160cm에 몸무게 80kg라는 뚱뚱한 체구를 가졌으나 1920년대 아르헨티나를 대표했던 공격수로 키가 작았지만 헤딩 스킬이 좋았고 볼 다루는 기술이 빼어났으며 정확한 양발 슈팅과 우수한 패스 센스를 가진 인사이드 포워드였으며 또한 체형 때문에 다소 느린 스피드를 보완하기 위해 다음 플레이를 예측하는 지능적인 플레이를 선호했다.

인디펜디엔테 구단 통산 득점 2위에 랭크된 세오아네는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2회 우승을 포함해 공식대회 통산 3회 우승을 이뤄냈으며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득점왕을 3회 수상하며 당대 아르헨티나 축구계 최고의 선수로 군림했다.

 

 

스트라이커

 

 

이름: 아르세니오 에리코
출생년도: 1915년 3월 30일
포지션: 스트라이커
신체조건: 키 183cm

활약 기간: 1934~1941, 1943~1946
통산 기록: 339경기 304골

 

1930년대 후반 세계 최고의 선수 중 한 명으로 당시로서는 큰 키인 183cm의 신장과 압도적인 점프력이 더해져 공중전에서 재미를 보았으며 프란시스코 바라요가 말하기를 "그의 헤딩은 궁수와 같아서 정확히 원하는 곳에 꽂을 수 있었다."라고 평가했으며 헤더뿐만이 아니라 슛 테크닉도 매우 뛰어난 선수라 스콜피온 킥을 최초로 사용한 선수라고 전해진다.

인디펜디엔테 구단 통산 최다 득점자에 랭크된 에리코는 데 라 마타, 사스트레와 함께 악마의 삼지창이라 불렸던 중앙 공격 듀오를 구성해 활약하며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2회 우승을 포함해 공식 대회 7회 우승을 기록했다. 그리고 에리코 개인도 여덟 시즌 연속으로 두 자릿수 골을 기록했으며 그중 첫 시즌을 제외하고는 모두 20골을 넘겼다. 특히 1930년대 후반에는 3년 연속 40골을 득점하며 득점왕을 차지했다.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통산 최다 득점자에 오른 에리코는 은퇴 이후 1966년에 스포르트 선정 아르헨티나 축구 역사상 최고의 선수로 선정되었으며 사후인 1999년에는 FFHS 선정 20세기 최고의 축구선수 49위에 선정되었고 2017년에는 베를린브리츠 선정 1930년대 최고의 선수 6위에 올랐다.

 

 

감독

 

 

이름: 호세 오마르 파스토리사

출생년도: 1942년 5월 23일

부임기간: 1976~1979, 1983~1984, 1985~1987, 1990~1991, 2003~2004

 

선수와 감독 두 부분에서 모두 인디펜디엔테의 전설을 쓴 인물로 무려 다섯 번이나 인디펜디엔테의 감독직을 맡았는데 근엄한 외모에서 나오는 인자함으로 팀을 하나로 묶은 파스토리사는 마랑고니, 지우스티, 보치니, 부루차가의 중원 구성을 바탕으로 좋은 성적을 냈다.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3회 우승을 이뤄냈으며 특히 1984년에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결승전에서 그레미우를 제치고 남미 챔피언에 올랐으며 인터콘티넨탈컵에서는 유럽에서 붉은 제국이라 불리던 리버풀을 격파하며 세계 챔피언에 올라 누가 진짜 붉은 제국인지 세계의 축구 팬들에게 다시 한번 각인시켰다. 이후에도 여러 번 인디펜디엔테 감독을 맡아 팀을 구했으나 다섯 번째 임기 도중인 2004년에 심장마비로 생을 마감했다.

(선수시절 행적은 서브 항목에서 하술함)

 


토르난테 선정 인디펜디엔테 역대 베스트 일레븐

 


25인 스쿼드 / 서브 14인

 

 

 

이름: 페르난도 베요
출생년도: 1910년 11월 29일
포지션: 골키퍼
신체조건: 키 175cm

활약 기간: 1933~1944
통산 기록: 300경기

 

1930년대와 40년대에 걸쳐 활약한 골키퍼로 타고난 운동 능력과 몸을 사리지 않는 투지 넘치는 다이빙으로 대단한 선방을 보여줘 타잔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

선수 생활을 오직 인디펜디엔테에서만 보낸 원 클럽맨 베요는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2연패와 코파 알 다오 2연패를 포함해 크고 작은 공식대회에서 일곱 번의 우승을 이뤄냈다.

 

 

 

이름: 루이스 이슬라스
출생년도: 1965년 12월 22일
포지션: 골키퍼
신체조건: 키 188cm / 몸무게 87kg

활약 기간: 1986~1988, 1990~1994, 2003
통산 기록: 247경기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아르헨티나 무대에서 이름을 날린 거구의 골키퍼로 기행을 보여주는 플레이 스타일로 인해 광인이라는 별명으로 불렸으며 특히 일대일 방어에 능했으나 말년에는 살이 너무 쪄서 다이빙을 한 뒤 일어나는데 오랜 시간이 걸려서 고전하기도 했다.

이슬라스는 리버 플레이트에 머무는 동안 1994년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클라우수라 우승을 이뤄냈으며 남미 대항전에서도 1994년 코파 수다메리카나와 1995년 수페르코파 수다메리카나 우승을 이뤄냈다.

 

 

 

이름: 프란시스코 사
출생년도: 1945년 10월 25일
포지션: 센터백, 라이트백, 레프트백
신체조건: 키 178cm / 몸무게 72kg

활약 기간: 1971~1975
통산 기록: 221경기 8골

 

1970년대 아르헨티나 무대에서 이름을 날린 유틸리티 수비자원으로 탄력적인 점프력과 탄탄한 바디밸런스에서 나오는 투지 넘치는 밀착수비와 반 박자 빠른 슬라이딩 태클로 이름을 날렸다.

리버 플레이트에서는 벤치에 머물며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다가 인데펜디엔테로 이적한 뒤에는 1971 시즌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전기리그 우승을 이끌었으며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4연패를 이끄는 대업적을 세웠다. 그리고 1973년에는 인터콘티넨탈컵에서 유벤투스를 격파하는데 공을 세웠다.

보카 주니어스에서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2회 우승을 추가하며 개인 통산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최다 우승자로 이름을 날렸다.

 

 

 

이름: 미겔 앙헬 로페스
출생년도: 1942년 3월 1일
포지션: 센터백
신체조건: 키 177cm / 몸무게 75kg

활약 기간: 1971~1975
통산 기록: 136경기 1골

 

1970년대 아르헨티나 무대에서 이름을 날린 센터백으로 키가 큰 편은 아니었지만 탄탄한 바디밸런스와 적절한 커버 플레이를 바탕으로 탄탄한 수비력을 보였으며 강력한 킥력을 바탕으로 한 롱패스로도 이름을 날렸다.

인디펜디엔테에서 프란시스코 사, 리카르도 파보니 등과 함께 수비라인을 구성해 활약하며 1971년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전기리그 우승에 이어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4연패를 이뤄냈으며 1973년에는 인터콘티넨탈컵 우승에도 공을 세웠다.

 

 

 

이름: 로베르토 페레이로
출생년도: 1935년 4월 25일
포지션: 라이트백, 센터백
신체조건: 키 176cm / 몸무게 71kg

활약 기간: 1958~1968
통산 기록: 241경기 0골

 

1960년대 아르헨티나 무대 정상급 라이트백으로 강력한 체력과 집요한 일대일 수비능력을 바탕으로 남미 무대 정상급 수비수로 통했으며 센터백도 소화할 수 있었다.

인데펜디엔테에서 전성기를 누리며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3회 우승을 이뤄냈으며 남미 무대에서도 산투스와 페냐롤의 강세 속에서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2연패를 이뤄냈다.

 

 

 

이름: 클라우디오 마랑고니
출생년도: 1954년 11월 17일
포지션: 수비형 미드필더, 센터백
신체조건: 키 186cm / 몸무게 79kg

활약 기간: 1982~1988
통산 기록: 237경기 25골

 

1980년대 아르헨티나 무대에서 이름을 날린 수비형 미드필더로 수비 상황에서의 터프한 플레이와 공격 상황에서는 환상적인 볼 컨트롤을 보여줬으며 유사시에는 센터백도 소화할 수 있었다.

인데펜디엔테에서 전성기를 누리며 지우스티, 보치니, 부루차가와 함께 인디펜디엔테판 마법의 사각형을 구성해 활약한 마랑고니는 1983년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전기리그 우승을 이뤄냈으며 1984년에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와 인터콘티넨탈컵을 제패하는데 공헌했다.

 

 

 

이름: 미겔 앙헬 라이문도
출생년도: 1943년 12월 12일
포지션: 수비형 미드필더, 중앙 미드필더
신체조건: 키 174cm

활약 기간: 1969~1974
통산 기록: 243경기 10골

 

1970년대 초반 아르헨티나 무대에서 이름을 날린 수비형 미드필더로 우수한 수비력으로 플레이메이커의 부담을 덜어주는 보디가드 역할과 플레이메이커 역할 모두에 능했는데 물론 안정적인 패싱력을 바탕으로 볼 소유를 돕기도 했으며 기습적인 드리블로 상대를 혼란에 빠트리기도 했던 다재다능한 선수였다.

인디펜디엔테에서 전성기를 누리며 호세 오마르 파트로리사, 루벤 갈반 등과 함께 중원을 구성하며 로스 디아블로스 로하스의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메트로폴리타노 2회 우승과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3회 우승 및 1973년에 열린 인터콘티넨탈컵 우승을 이뤄냈는데 특히 1973년에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인터 코파 아메리카, 그리고 인터콘티넨탈컵을 모두 제패하는데 공헌했다.

 

 

 

이름: 호세 오마르 파트로리사
출생년도: 1942년 5월 23일
포지션: 중앙 미드필더, 공격형 미드필더, 수비형 미드필더
신체조건: 키 185cm / 몸무게 75kg

활약 기간: 1966~1972
통산 기록: 184경기 32골

 

1960년대 하반기와 70년대 초반에 이름을 날렸던 플레이메이커로 높은 수준의 전술안과 유려한 테크닉과 패싱력을 겸비했으며 뛰어난 플레이메이킹뿐만이 아니라 간혹 수비형 미드필더로 기용되었을 정도로 수비적인 부분에서도 우수했다.

인디펜디엔테에서 전성기를 누리며 미겔 앙헬 라이문도와 함께 중원을 구성해 이름을 날렸던 파트로리사는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3회 우승 및 1972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을 이뤄냈으며 1971년에는 아르헨티나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했으며 남미 올해의 선수 투표에서 2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이름: 호르헤 부루차가
출생년도: 1962년 10월 9일
포지션: 공격형 미드필더, 중앙 미드필더, 포워드, 레프트윙
신체조건: 키 177cm / 몸무게 70kg

활약 기간: 1981~1985, 1995~1998
통산 기록: 267경기 81골

 

1980년대 아르헨티나 대표팀의 우수한 공격 자원으로 간결한 원터치 플레이와 번뜩이는 센스와 우수한 드리블 돌파력은 물론 오프 더 볼에서의 판단력과 움직임이 대단해 조력자로서도 훌륭한 모습을 보여줬으며 공격형 미드필더 이외에도 윙어와 처진 공격수 역할도 훌륭하게 수행했다.

인데펜디엔테에서 전성기를 누린 부루차가는 마랑고니, 지우스티, 보치니와 함께 인디펜디엔테판 마법의 사각형을 구성해 활약했는데 로스 디아블로스 로하스에 머무는 동안 1983년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전기리그 우승을 이뤄냈으며 1984년에는 코파 아메리카와 인터콘티넨탈컵에서 그레미우와 리버풀을 각각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1986년에 프랑스의 낭트로 떠났다가 1994년에 다시 돌아온 부루차가는 1995년에는 레코파 수다메리카나와 수페르코파 수다메리카나 우승을 이뤄내는데 공을 세웠다.

 

 

 

이름: 에르네스토 그리요
출생년도: 1929년 10월 1일
포지션: 공격형 미드필더, 포워드
신체조건: 키 170cm / 몸무게 74kg

활약 기간: 1949~1957
통산 기록: 192경기 90골

 

1950년대와 60년대에 걸쳐 남미 무대에서 이름을 날린 공격형 미드필더로 양발을 모두 잘 써 정확한 슈팅과 뛰어난 전진드리블을 활용했으며 단신이었지만 신체 밸런스가 좋아 몸싸움을 잘해 상대방의 대인 마킹도 잘 떨어트렸다.

초년에는 인디펜디엔테에서 활약했는데 비록 우승컵을 단 한 개도 들지 못했지만 그리요 개인의 활약은 대단해 1956 시즌에는 득점왕에 오르는 등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이름: 다니엘 베르토니
출생년도: 1955년 3월 14일
포지션: 라이트윙, 레프트윙, 포워드
신체조건: 키 179cm / 몸무게 73kg

활약 기간: 1973~1977
통산 기록: 209경기 89골

 

1970년대에 아르헨티나 무대에서 이름을 날렸던 측면 공격수로 우수한 잔발 테크닉 능력과 기민한 드리블 능력을 겸비했으며 공격형 미드필더와 스위칭 플레이를 통해 상대 수비에 빈틈을 냈으며 라이벌 오우세만처럼 양발 능력이 뛰어나 적재적소에서 슈팅과 크로스를 올렸다.

인디펜디엔테의 전성기를 함께한 다니엘 베르토니는 데뷔 시즌부터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을 이뤄낸 것을 포함해 대회 3연패를 이뤄냈으며 1973년에는 인터콘티넨탈컵 우승을 함께했으며 1977년에는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나시오날 우승을 이뤄내는데 큰 공을 세우며 1977년 남미 올해의 선수 투표에서 9위에 올랐다.

 

 

 

이름: 라울 베르나오
출생년도: 1941년 11월 5일
포지션: 라이트윙
신체조건: 키 177cm / 몸무게 72kg

활약 기간: 1961~1970
통산 기록: 241경기 40골

 

1960년대 남미 무대에서 이름을 날렸던 라이트윙으로 오른쪽 측면에서 거칠 것 없이 질주해 미치광이라 불렸으며 이런 저돌적인 모습과는 다르게 높은 수준의 테크닉을 앞세워 우아한 플레이를 펼쳐 우측면의 시인이라고도 불렸다.

인디펜디엔테에서 전성기를 누린 베르나오는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3회 우승을 이뤄냈으며 남미 대륙에서도 펠레를 보유한 산투스와 우루과이의 양대 강호 클루브 나시오날과 페냐롤 등 쟁쟁한 상대들을 물리치고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2연패를 이뤄내며 인데펜디엔테가 남미 최고의 명문으로 발돋움하는데 큰 공을 세웠다.

 

 

 

이름: 라이문도 오르시
출생년도: 1901년 12월 2일
포지션: 레프트윙
신체조건: 키 168cm / 몸무게 68kg

활약 기간: 1920~1928, 1935~1936
통산 기록: 281경기 119골

 

1920년대와 30년대 당시 최고의 아웃사이드 레프트로 빠른 스피드와 교묘한 드리블을 겸비해 상대 수비수를 속이며 크로스를 올려 공격수를 지원하는 능력과 왼발 슈팅으로 직접 마무리하는 능력 모두 훌륭했으며 중요한 경기에서 강한 면모를 보였다.

아르헨티나에서 활약하던 시절에는 인디펜디엔테에 머물며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3회 우승을 이뤄냈으며 이탈리아의 유벤투스로 떠났다가 다시 인디펜디엔테로 돌아와 활약하기도 했다.

 

 

 

이름: 루이스 라바스치노
출생년도: 1903년 1월 15일
포지션: 스트라이커, 포워드
신체조건: 미상

활약 기간: 1923~1934
통산 기록: 285경기 136골

 

1920년대 아르헨티나 무대에서 활약했던 최전방 공격수로 화려함은 덜했지만 박스 안에서의 정확한 슈팅과 냉정한 판단력으로 많은 득점을 기록했다.

인디펜디엔테 구단 통산 득점 4위에 랭크된 라바스치노는 1926년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우승을 포함해 공식전에서 총 4회 우승을 이뤄냈으며 1924년에는 15골로 득점왕에 올랐다. 그리고 프로리그시대의 인디펜디엔테의 첫 득점을 기록했다.

 


25인 스쿼드 완성판

 

토르난테 선정 인디펜디엔테 역대 올스타 25인 스쿼드

 


CA 인디펜디엔테 역대 올스타 리저브 팀 11인

 

 

 

이름: 카를로스 고엔
출생년도: 1956년 8월 14일
포지션: 골키퍼
신체조건: 키 182cm / 몸무게 78kg

활약 기간: 1981~1985
통산 기록: 200경기

 

1980년대 상반기에 아르헨티나 무대에서 이름을 날린 우루과이 출신의 골키퍼로 어린 시절 농구를 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탄탄한 점프력과 안정적인 골문 방어, 그리고 크로스를 차단하는 능력에서 강점을 보여줬다.

고옌은 인디펜디엔테에 머무는 동안 1983 시즌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전기리그 우승을 이뤄냈으며 세계 무대에서도 1984년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결승전에서 그레미우를 상대로 무실점으로 승리하며 팀을 남미 챔피언에 올렸으며 연말에 열린 인터콘티넨탈컵에서도 대단한 선방쇼를 보여주며 이안 러시와 케니 달글리시의 슈팅을 무력화시키며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

 

 

 

이름: 페르민 레체아
출생년도: 1905년 9월 25일
포지션: 센터백
신체조건: 미상

활약 기간: 1932~1940
통산 기록: 263경기

 

1930년대 인디펜디엔테의 약진을 이끈 스페인 태생의 주장으로 복싱 선수를 겸했을 정도로 우수한 신체능력을 바탕으로 한 거친 수비로 이름을 날렸다.

화려한 공격진의 뒤를 받치며 인디펜디엔테에서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시비온 2회 우승을 포함해 크고 작은 대회에서 총 7회 우승을 이뤄냈다.

 

 

 

이름: 가브리엘 밀리토
출생년도: 1980년 9월 7일
포지션: 센터백
신체조건: 키 179cm / 몸무게 78kg

활약 기간: 1997~2003, 2011~2012
통산 기록: 138경기 3골

 

2000년대에 명성을 떨친 왼발잡이 수비수로 높은 수준의 볼 컨트롤과 패싱력으로 이름을 날렸으며 수비라인을 지휘하는 카리스마가 대단해 엘 마리스칼, 즉 총사령관이라는 별명으로 유명했다.

전성기는 유럽의 레알 사라고사 및 FC 바르셀로나에서 누렸지만 커리어의 시작과 끝을 장식한 구단은 인디펜디엔테였던 가브리엘 밀리토는 2002 시즌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아페르투라 우승을 이뤄내는데 큰 공을 세우며 그 해 남미 올해의 팀에 선정되었음은 물론 아르헨티나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하는 영광을 누렸다.

 

 

 

이름: 호르헤 올귄
출생년도: 1952년 5월 17일
포지션: 라이트백, 센터백
신체조건: 키 177cm / 몸무게 68kg

활약 기간: 1980~1983
통산 기록: 127경기 13골

 

1970년대 후반과 80년대 초반에 아르헨티나 무대에서 이름을 날렸던 수비수로 체구는 작았지만 왕성한 활동량에서 나오는 집요한 대인 마킹으로 상대 공격수를 괴롭혔으며 탄탄한 수비력으로 인해 센터백으로도 자주 기용되었다.

산 로렌소에서 전성기를 누린 뒤 인디펜디엔테로 이적해 세 시즌 간 활약하며 1983년 전기리그 우승을 이뤄낸 뒤 아르헨티노 주니오스로 이적했다.

 

 

 

이름: 토마스 롤란
출생년도: 1936년 1월 13일
포지션: 레프트백, 레프트윙, 중앙 미드필더, 스트라이커
신체조건: 미상

활약 기간: 1960~1966
통산 기록: 미상

 

우루과이 출신이지만 아르헨티나 무대에서 전성기를 누린 선수로 주 포지션은 레프트백이지만 과거에 공격수였던 이력을 바탕으로 강력한 오버래핑을 뽐내기도 했다.

1960년대 인디펜디엔테에서 페레이로와 함께 측면 수비 라인을 맡아 활약하며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2회 우승과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2연패를 이뤄냈으나 1964 인터콘티넨탈컵에서 인테르와의 경기 도중 거친 태클로 부상당하며 무너졌고 레이 더 코파스는 이를 롤란과 동향인 파보니로 메꾸게 된다.

 

 

 

이름: 루벤 갈반
출생년도: 1952년 4월 7일
포지션: 수비형 미드필더, 중앙 미드필더
신체조건: 키 174cm / 몸무게 73kg

활약 기간: 1971~1980
통산 기록: 231경기 14골

 

1970년대 아르헨티나 무대에서 이름을 날렸던 수비형 미드필더로 왕성한 활동량과 강인한 정신을 바탕으로 한 볼위닝 미드필더로 명성을 날렸는데 마킹하는 상대와 볼 소유에 대한 집념이 대단했다.

인디펜디엔테에서 전성기를 누리며 라이문도, 보치니 등을 보좌하며 팀의 살림꾼 역할을 맡았던 갈반은 로스 디아블로스 로하스에 머무는 동안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2회 우승 및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4연패와 코파 인터아메리카 2회 우승을 이뤄냈으며 1973년에는 유벤투스를 상대로 인터콘티넨탈컵에서 승리를 차지하는데 공헌했다.

 

 

 

이름: 셀레스티노 마르티네스
출생년도: 1914년 5월 7일
포지션: 중앙 미드필더, 수비형 미드필더, 레프트백, 포워드
신체조건: 미상

활약 기간: 1934~1944
통산 기록: 255경기 13골

 

1930년대와 40년대에 걸쳐 활약한 레프트 하프로 강력한 완력을 바탕으로 한 수비에 능했음은 물론 그 시대의 하프백들과는 다르게 공격수 출신이라는 점 때문인지 상대의 우측면을 공략해 기습적으로 공격에 가담해 득점하는 플레이를 즐겼다.

사스트레, 에리코, 데 라 마타 등과 함께 인디펜디엔테의 전성기를 이끈 셀레스티노 마르티네스는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2회 우승을 포함해 크고 작은 대회에서 7회 우승을 이뤄냈다.

 

 

 

이름: 오마르 라로사
출생년도: 1947년 11월 18일
포지션: 공격형 미드필더, 중앙 미드필더, 포워드
신체조건: 키 175cm / 몸무게 70kg

활약 기간: 1977~1980
통산 기록: 156경기 23골

 

1970년대 아르헨티나 무대에서 이름을 날린 플레이메이커로 명민한 패스로 아군 공격수들을 지원했으며 기술적인 드리블을 활용해 상대 수비를 벗겨내며 공간을 만드는 부분에도 탁월했다.

우라칸에서 주전으로 리그 우승을 이뤄낸 뒤 1977년에 인디펜디엔테에 합류해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나시오날 2회 우승을 이뤄냈다.

 

 

 

이름: 아구스틴 발부에나
출생년도: 1945년 9월 1일
포지션: 라이트윙, 포워드, 공격형 미드필더
신체조건: 키 172cm / 몸무게 68kg

활약 기간: 1971~1975
통산 기록: 214경기 50골

 

1970년대 상반기에 아르헨티나 무대에서 이름을 날린 라이트윙으로 질풍같은 스피드를 활용해 상대 수비수를 따돌렸으며 강력한 오른발 슈팅으로 직접 슈팅을 노렸다.

1960년대에는 콜론에서 보내다가 로사리오 센트랄을 거쳐 1970년대 상반기 인디펜디엔테에 정착했는데 로스 디아블로스 로하스에 머무는 동안 1971년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전기리그 우승을 이뤄냈으며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4연패 및 코파 인터아메리카 3연패를 이뤄냈고 1973년에는 유밴투스를 상대로 인터콘티넨탈컵에서 승리했다.

 

 

 

이름: 아니발 타라비니
출생년도: 1941년 8월 4일
포지션: 레프트윙
신체조건: 키 170cm / 몸무게 66kg

활약 기간: 1966~1970
통산 기록: 163경기 77골

 

1960년대 중후반에 아르헨티나에서 이름을 날렸던 측면 공격수로 오른발잡이지만 왼쪽 사이드를 선호했으며 측면에서 크로스로 지원하기보다는 중앙으로 침투해 직접 득점을 노리는 플레이를 선호했던 인사이드 커터였다.

아니발 타라비니는 리버 플레이트에 머무는 동안 1967년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후기리그 우승과 1970년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전기리그 우승을 이뤄냈다.

 

 

 

이름: 엑토르 야살데
출생년도: 1946년 5월 29일
포지션: 스트라이커
신체조건: 키 176cm / 몸무게 71kg

활약 기간: 1967~1971
통산 기록: 117경기 72골

 

1960년대와 70년대에 걸쳐 이름을 날린  스코어러 가운데 한 명으로 기술적으로는 평범했지만 신들린 반응속도와 우수한 위치 선정을 겸비했으며 정확한 슈팅으로 엄청난 득점력을 뽐냈다.

아르헨티나의 인데펜디엔테에서 활약하며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2회 우승을 이뤄내며 1970년 아르헨티나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했으며 인디펜디엔테를 떠나 스포르팅 리스본에서도 뛰어난 모습을 보였다.

 


*사진 출처는 에펨코리아와 에펨네이션에서 활동하시는 법정스님의 소유님의 사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단 소유님이 만드시지 않았던 선수들에 한정해서는 제가 직접 건조폼을 제작합니다.

*기록은 주로 트렌스퍼마켓을 참조합니다. 잘못될 경우 다른 기록을 참조합니다. (공식 홈페이지에 기록이 있으면 공식 홈페이지 우선)

*기록 기준은 2023년 5월 8일 기준입니다.

728x90